Korean Religion in the Post-COVID-19 Era from the Perspective of Religious History

이 논문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한국종교를 역사적 팬데믹이 종교를 포함한 사회적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분석함으로써 살펴보고자 한다. 논문은 역사적 팬데믹으로 로마 시대, 종교개혁 시대, 19세기 말 한반도의 세 가지 전염병 사례로 선택하였다. 첫째, 로마 시대의 역병은 종교가 의례 중심에서 도덕 지향적으로 변화하는데 결정적 요인이 되었다. 두 번째 사례인 종교개혁 시대의 감염병은 14세기의 페스트 대유행에 뿌리를 두고 있다. 페스트의 유행은 강력한 사제직을 기반으로 하는 가톨릭으로서는 악몽 그 자체였다. 많은 사제가 역병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ongkyo yŏnku
Main Author: Lee, Kilyong (Author)
Format: Electronic Article
Language:Korean
Check availability: HBZ Gateway
Fernleihe:Fernleihe für die Fachinformationsdienste
Published: Han gog jong gyo hag hoe 2022
In: Chongkyo yŏnku
Further subjects:B 문명과 감염병
B Social Change
B Korean Religion
B Covid-19
B Civilization and Epidemics
B 사회변화
B Pandemic
B 팬데믹
B 한국종교
B 코로나19
Online Access: Volltext (lizenzpflichtig)
Volltext (lizenzpflichtig)
Description
Summary:이 논문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한국종교를 역사적 팬데믹이 종교를 포함한 사회적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분석함으로써 살펴보고자 한다. 논문은 역사적 팬데믹으로 로마 시대, 종교개혁 시대, 19세기 말 한반도의 세 가지 전염병 사례로 선택하였다. 첫째, 로마 시대의 역병은 종교가 의례 중심에서 도덕 지향적으로 변화하는데 결정적 요인이 되었다. 두 번째 사례인 종교개혁 시대의 감염병은 14세기의 페스트 대유행에 뿌리를 두고 있다. 페스트의 유행은 강력한 사제직을 기반으로 하는 가톨릭으로서는 악몽 그 자체였다. 많은 사제가 역병의 희생물이 되어버리자, 신의 은총을 매개하던 사제의 역할이 주체적 개인에게 돌아갔고, 이는 종교개혁의 이름으로 진행되었다. 결국 개인 중심적 종교로의 개편이 역병 때문에 펼쳐진 셈이다. 마지막으로 19세기 말 조선 사회의 역병은 상대적으로 근대적 의료기술을 갖췄던 선교사들의 가치를 높이게 했고, 이는 그리스도교가 전통 종교보다 우위에 있고, 더 합리적이라는 인식을 하게 했다, 그 결과 그리스도교는 이전보다 안정적으로 조선에서 포교 활동을 할 수 있었다. 이처럼 감염병 대유행은 사회와 종교계에 변화를 가져온다. 코로나19 이후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통계를 보면 한국 사회는 갈수록 비종교인의 수가 늘어나고 있고, 종교인이라 하더라도 기존 종교조직에서 정상적 신앙생활을 하는 이들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이는 종교적 동기는 있으나 그것을 기존 종단조직에서 해결하려 들지 않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이들이 코로나19 시대를 맞아 개별적 온라인 접촉에 익숙해지게 되면 이후 한국 사회의 종교활동은 두 가지 방향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 개방적 성향의 사람은 자신의 일상에서 종교적 가치를 실현하고자 하는 이른바 생활 속 종교활동에 집중할 것이고, 보다 체험에 집중적이고 폐쇄적 성향을 보이는 이들은 비의적 종교활동에 몰입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ligious situation in korean society after COVID-19 by analyzing how large-scale infectious disease outbreaks have brought about changes in society and religion in the history of mankind. In this paper, three pandemic cases were analyzed, namely, the roman period, the reformation period, and the korean peninsula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 plague of the roman era became a decisive factor in the change of religion from ceremonial center to moral center. The plague of the reformation era swept europe from the 14th century, and as a result shook the roots of the religious structure of that time. The plague epidemic was a nightmare for roman catholic with a strong priesthood. As many priests became victims of the plague, the role of priests who had mediate God’s grace returned to the individual, which was carried out in the name of the reformation. In the end, the reorganization to a person-centered religion was triggered by the plague. The plague of Joseon society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raised the value of missionaries equipped with relatively modern medical technology, which led to the perception that christianity is superior to traditional religions and is more rational. As a result, christianity became more stable than before. As such, an infectious disease pandemic brings changes in society and religion. It will be the same after COVID-19. According to statistics, the number of non-religious people in korean society is increasing, and even if they are religious, those who lead a normal life of faith in existing religious organizations are decreasing. This also means that there are an increasing number of people who have religious motives but do not want to solve them in the existing religious organizations. When these people become accustomed to individual online contact in the era of COVID-19, religious activities in korean society are likely to proceed in two directions. Open-minded people will focus on so-called religious activities in their daily life to realize religious values in their daily lives, and those who are more focused on experience and have a closed tendency may be immersed in esoteric religious activities.
Contains:Enthalten in: Chongkyo yŏnku
Persistent identifiers:DOI: 10.21457/kars.2022.4.82.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