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ID-19 and Korean Religion: A comparative study of the perception and response toward a pandemic situation

코로나19는 정치, 경제 등 사회의 모든 분야를 시험대에 올렸고, 특히 ‘한국 종교’를 성찰하는 계기를 제공했다. 이 글은 코로나19 상황을 한국 종교가 어떻게 인식하고, 대응했는지를 비교한다. 팬데믹(pandemic) 상황에서 확인된 한국 종교의 가장 큰 특징은 개신교와 여타 종교와의 뚜렷한 대조이다. 한국 불교와 천주교는 현 상황을 교리적으로 해석하려는 노력을 분명하게 보여주지 않았고, 정부의 방역 정책에도 적극적으로 협조했다. 한국의 신종교 역시 크게 다르지 않았다. 이런 현상은 코로나19는 질병의 하나로 종교적인 해석이 아닌...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ongkyo yŏnku
Main Author: Seong, Hae Young (Author)
Format: Electronic Article
Language:Korean
Check availability: HBZ Gateway
Fernleihe:Fernleihe für die Fachinformationsdienste
Published: Han gog jong gyo hag hoe 2021
In: Chongkyo yŏnku
Further subjects:B 개신교
B Covid-19
B 성찰
B 한국 종교
B Korean religion
B Protestantism
B Politics
B Reflection
B 방역 정책
B 정치
B quarantine policy
B 코로나19
Online Access: Volltext (lizenzpflichtig)
Volltext (lizenzpflichtig)
Description
Summary:코로나19는 정치, 경제 등 사회의 모든 분야를 시험대에 올렸고, 특히 ‘한국 종교’를 성찰하는 계기를 제공했다. 이 글은 코로나19 상황을 한국 종교가 어떻게 인식하고, 대응했는지를 비교한다. 팬데믹(pandemic) 상황에서 확인된 한국 종교의 가장 큰 특징은 개신교와 여타 종교와의 뚜렷한 대조이다. 한국 불교와 천주교는 현 상황을 교리적으로 해석하려는 노력을 분명하게 보여주지 않았고, 정부의 방역 정책에도 적극적으로 협조했다. 한국의 신종교 역시 크게 다르지 않았다. 이런 현상은 코로나19는 질병의 하나로 종교적인 해석이 아닌 의학과 같은 과학적 관점에서 다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반면 개신교는 세 가지 특징적 모습을 드러냈다. 첫째, 개신교는 다른 종교보다 강한 반응을 보여주었다. 둘째, 개신교는 인식과 대응 차원에서 내부에서조차 큰 편차를 확인시켜 주었다. 셋째, 인식과 대응 방식에서 정치, 종교, 과학 등 여러 차원이 혼재되는 경향을 띠었다. 개신교의 이러한 특성은 ‘조직’, ‘교리’, ‘정치/사회적 측면’에서 설명될 수 있다. 코로나가 종식된 이후 우리 사회는 종교 자체를 더 부정적으로 인식할 가능성이 크며, 단기적으로는 개신교가 부정적인 평가를 받을 공산이 높다. 이로 말미암아 종교계의 자성과 성찰의 노력 역시 본격화될 것이다. 이미 개신교를 시작으로 종교의 의미와 사회적 역할을 고민하자는 움직임이 등장하고 있다. 성찰과 변화의 핵심은 ‘종교가 개인과 공동체에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라는 사회적 역할에 대한 물음이다. 특히 이 과정에서 개신교는 변화의 중심에 위치할 것으로 예상된다.
COVID-19 has put all fields of society, including politics and economics, to the test. In particular, COVID-19 in Korea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Korean religion’. This article attempts to compare how Korean religions perceived and responded to the COVID-19 pandemic. In the context of COVID-19, the biggest characteristic of Korean religion is the contrast between Protestantism and other religions. Buddhism and Catholicism did not try to interpret COVID-19 using religious doctrine. Both religions also actively cooperated with the government’s quarantine policy. New religions in Korea were no different. This phenomenon means that COVID-19 is a disease and should be dealt with from a scientific point of view such as medicine, not a religious interpretation. The distinctive features of Protestantism are divided into three main categories. First, Protestantism showed a stronger reaction than other religions. Second, Protestantism revealed large deviations even within, in terms of recognition and response. Third, in the way of perception and response, various dimensions such as politics, religion, and science tended to be mixed. The cause of these characteristics can be found in ‘organization’, ‘doctrine’, and ‘political/social aspect’. After the corona virus is over, Korean are highly likely to perceive religion itself more negatively. In the short term, Protestantism will likely receive a negative evaluation. At the same time, it seems that the religious world’s efforts to introspect and introspect will begin in earnest. Already, starting with Protestantism, there is a movement to consider the meaning of religion and its social role. The core of reflection and change will be the question of the social role of ‘what meaning does religion have for individuals and communities’. In particular, Protestantism is expected to be at the center of change.
Contains:Enthalten in: Chongkyo yŏnku
Persistent identifiers:DOI: 10.21457/kars.2021.8.81.2.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