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ture Tasks and Prospects for Korean Religion in the Post Covid 19 era, focused on the Viewpoint of Religious Education in Korea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종교교육의 관점에서 한국종교의 과제와 전망이라는 주제 로 ‘과연 종교교육의 과제는 무엇인가 ‘라는 성찰과 전망을 설정해 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종교교육을 담당하는 교사, 종교교육이 이뤄지는 공간. 종교교육의 내용, 종교교육의 방법, 종교 교육의 목적 및 종교교육 매개체 등을 중심으로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교교육의 관점에서 한국종교는 종교교육을 위한 구성원 간(학생, 교사, 종단, 학부모, 정부 등)협업의 지혜를 발휘하길 기대한다. 둘째, 새로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ongkyo yŏnku
Main Author: Kim, GuiSung (Author)
Format: Electronic Article
Language:Korean
Check availability: HBZ Gateway
Fernleihe:Fernleihe für die Fachinformationsdienste
Published: Han gog jong gyo hag hoe 2022
In: Chongkyo yŏnku
Further subjects:B Covid 19
B Korean Religious Education
B Paradigm shift Task and prospect of Korean Religion
B 한국종교의 패러다임 전환:과제와 전망
B Post covid era
B 포스트 코로나 시대
B 코로나19
B 한국종교교육
Online Access: Volltext (lizenzpflichtig)
Volltext (lizenzpflichtig)
Description
Summary: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종교교육의 관점에서 한국종교의 과제와 전망이라는 주제 로 ‘과연 종교교육의 과제는 무엇인가 ‘라는 성찰과 전망을 설정해 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종교교육을 담당하는 교사, 종교교육이 이뤄지는 공간. 종교교육의 내용, 종교교육의 방법, 종교 교육의 목적 및 종교교육 매개체 등을 중심으로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교교육의 관점에서 한국종교는 종교교육을 위한 구성원 간(학생, 교사, 종단, 학부모, 정부 등)협업의 지혜를 발휘하길 기대한다. 둘째, 새로운 의사소통 매체의 연구와 개발을 요구받는다. 그동안 종교교육의 주요한 매개체로는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교과서, 교사였다. 그러나 이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비대면 체제에서 이 매개체들은 새로운 변화를 요구받는다. 셋째, 종교를 위한 종교보다는 인간을 위한 종교로의 거듭남이다. 그동안 한국의 종교교육은 한국이 처한 종교적 현실 속에서 종교단체의 주도하에 전개되다 보니 교육적이기보다는 종교적이라는 경향이 지배적이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인간의 생명, 환경, 조화와 협력 등이 더욱 절실해질 전망이기 때문에 인간중심의 종교교육이 더욱 중요하다. 끝으로 종교교육이 한국종교, 국민과 함께 공유되는 대상이 되려면 종교교육과 관련하여 다양한 주체들과 함께 공동 연구와 개발(R&D)을 통해 새롭고 창의적 출구를 마련하는 데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set tasks and prospects for Korean religion in the post Covid 19 era based upon the perspective of Korean Religious Education. The paper examines teachers who teach religion in schools, spaces where religion is taught, contents, methods, the purpose of religious education, and religious education text files. The paper suggests tasks and prospects for Korean religion based on Religious Education in Korea as follows: First, I hope that for the development of Religious Education, much more to display wisdom how to cooperate with each members around(students, teachers, Religious orders, Parents, Government). basically based on Religious Education. In the Post Covid 19 era, it need disorganization of one’s province and much more communication, cooperation each others, because of come across one’s Religious order, it is necessary take an earnest reflections among Religious societ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research and development of new communication mechanism. During past, The main agencies of Religious Education dominated by National Curriculum,Textbook, Teacher. However, under the Post Covid 19 era, It would be difficult that such agencies could occupy the status as before. Textbook in paper also would be shifted by digitalized contents by way of Research and Development new mechanisms. Further more, we can prospect that for the Liberal Arts education in school, National Curriculum, Teacher training for Religious Education system should be reorganized. Third, It will be easy to prospect that the Religion should be rebirth as a Religion for Human kind than for Religion itself. So far, Korean Religious Education more dominated by religious pattern rather than education However in the Post Covid 19 era, it would be pressing prospect that Korean religion much more cooperate and harmonize with Human Life, Environment than before. Finally for more share with citizens as a Korean Religion,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ort to create new way out by a joint R&D with members related Religious education. For this it is necessary try to find a way how to cope with those problems, by more cooperate with concernd parties: Academic societeis, Religious Order, Parents, Schools, Government.
Contains:Enthalten in: Chongkyo yŏnku
Persistent identifiers:DOI: 10.21457/kars.2022.4.82.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