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scourse on Korean Shamanism in Relation to ‘Choi Soon-sil Gate’

2016년부터 2017년에 걸쳐 한국 사회를 크게 흔든 ‘최순실 게이트’에서는 ‘무속’이 크게 주목받았다. 최순실 게이트의 무속 담론의 대부분은 무속을 비판하는 것이었다. 이는 현대 한국 사회에서 무속이 여전히 부정적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잘 보여준다. 한편 최순실 게이트의 무속 담론에는 무속 담론의 역사상 주목할 만한 특징이 나타났다. 본고에서는 기존의 무속 담론과 비교를 통해 최순실 게이트의 무속 담론이 지니는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최순실 게이트의 무속 담론이 지니는 특징은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최순실 게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ongkyo yŏnku
Main Author: Shinzato, Yoshinobu (Author)
Format: Electronic Article
Language:Korean
Check availability: HBZ Gateway
Fernleihe:Fernleihe für die Fachinformationsdienste
Published: Han gog jong gyo hag hoe 2021
In: Chongkyo yŏnku
Year: 2021, Volume: 81, Issue: 2, Pages: 157-186
Further subjects:B Korean Shamanism
B Korean Religion
B Superstition
B Musok
B 샤머니즘
B Choi Soon-sil Gate
B 최순실 게이트
B 한국종교
B 무속
B 미신
Online Access: Volltext (lizenzpflichtig)
Volltext (lizenzpflichtig)
Description
Summary:2016년부터 2017년에 걸쳐 한국 사회를 크게 흔든 ‘최순실 게이트’에서는 ‘무속’이 크게 주목받았다. 최순실 게이트의 무속 담론의 대부분은 무속을 비판하는 것이었다. 이는 현대 한국 사회에서 무속이 여전히 부정적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잘 보여준다. 한편 최순실 게이트의 무속 담론에는 무속 담론의 역사상 주목할 만한 특징이 나타났다. 본고에서는 기존의 무속 담론과 비교를 통해 최순실 게이트의 무속 담론이 지니는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최순실 게이트의 무속 담론이 지니는 특징은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최순실 게이트의 무속 담론에는 연구자나 무당을 비롯하여 부당한 무속 비판에 맞서 반론하는 주체가 존재하였다. 둘째, 최순실 게이트에서의 무속 담론은 무속 비판인 듯하면서도 자세히 살펴보면 무속 자체에 대한 비판은 두드러지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특징의 배경으로는 무속에 대한 사회적 시각의 변화를 들 수 있을 것이다. 즉 현대 한국에서 무속을 문화나 종교로 간주하는 시각이 일정한 범위에서 공유되고 있어 이것이 과도한 무속 비판을 억제하는 기능을 했다고 볼 수 있다.
"Choi Soon-sil gate" was a notorious political scandal in South Korea during 2016-2017. The scandal revealed the control of Choi Soon-sil and others over national politics, which spawned criticism toward shamanism. This paper systematically examines the discourse on shamanism during Choi Soon-sil gate and consequently analyzes it through comparison with prior criticism of shamanism. For this objective, I scrutinized all possible relations between Choi Soon-sil’s family and shamanism, and I further examined the discourse on shamanism engendered by this scandal. In conclusion, I observed two significant aspects that characterized this discourse. The first aspect involves the existence of agents, such as mudang (shamans) and researchers, who aimed to rebut the unreasonable criticism of shamanism. The second aspect arises from the lack of intense criticism in the discourse on shamanism that emerged from Choi Soon-sil gate. Although the discourse seemed critical of shamanism, the criticism was not as intense as it could have been. The background of the second aspect is a relatively common perspective in South Korean society, which considers shamanism a culture or religion. This perspective suppressed the criticism of shamanism in the media.
Contains:Enthalten in: Chongkyo yŏnku
Persistent identifiers:DOI: 10.21457/kars.2021.8.81.2.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