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fatory considerations on tattoos from a religious studies perspective

문신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현상에 주목하며 본고는 거시적이고 비교문화적인 관점에서 인간의 ‘몸 새김(tattoo)’을 탐구한다. ‘몸 새김’을 보는 관점의 변화와 경주하는 다양한 담론들을 분석하고, ‘사회적 몸’을 매개로 전달되는 우리 시대의 가치관과 구체적인 개인들의 행동에서 의미 있는 변화점들을 찾아내려고 한다. 신체변형과 피부가 가지는 의미를 이해하고, 그 안에서 문신이라는 문화적 실천 행위를 해석하는 종교학의 이론적 테두리를 마련한다. 20세기 초부터 현재까지 한국 문신 관련 자료들을 분석하여 한국사회에서 ‘몸 새김’을 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Main Author: Choi, Jeong Hwa (Author)
Format: Electronic Article
Language:Korean
Check availability: HBZ Gateway
Fernleihe:Fernleihe für die Fachinformationsdienste
Published: Han gog jong gyo hag hoe 2020
In: Chongkyo yŏnku
Year: 2020, Volume: 80, Issue: 3, Pages: 27-62
Further subjects:B Material Religion
B subculture and religion
B 물질 종교
B 신체변형
B tattoo and religion
B 사회적 몸
B body modification
B social body
B 문신과 종교
B 하위문화와 종교
Online Access: Volltext (lizenzpflichtig)
Volltext (lizenzpflichti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