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ultural Understanding of the Religious Gasa (歌辭) of the Late Joseon Period

‘종교가사’는 ‘종교’의 교리와 체험을 ‘가사’의 문학적 양식에 담아 표현한 한국적 종교문학의 대표적 장르로서 조선 후기 종교문화적 맥락을 잘 반영했다. 종교가사는 종교성을 정형화된 형식의 음악적 운율과 결합하여 반복적 구송을 통해 교리의 전달, 의례의 수행 등과 연계함으로써 조선 후기에 대표적인 종교문학의 장르가 되었으며, 여성이나 하층민 등이 참여하고 향유하는 문화로서 종교문화의 대중화 혹은 민간화 현상을 반영하였다. 중세에서 근대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종교가사는 유교, 불교, 천주교, 동학 등 각 종교전통들이 처한 역사적 상황에...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ongkyo yŏnku
Main Author: Park, Jong-Chun (Author)
Format: Electronic Article
Language:Korean
Check availability: HBZ Gateway
Fernleihe:Fernleihe für die Fachinformationsdienste
Published: Han gog jong gyo hag hoe 2018
In: Chongkyo yŏnku
Year: 2018, Volume: 78, Issue: 2, Pages: 33-58
Further subjects:B 종교가사
B religious Gasa(歌辭)
B 천주교가사
B Buddhism
B Donghak(東學)
B Joseon (朝鮮)
B 유교가사
B Catholicism
B Confucianism
B 동학가사
B 불교가사
B 조선(朝鮮)
Online Access: Volltext (lizenzpflichtig)
Volltext (lizenzpflichtig)
Description
Summary:‘종교가사’는 ‘종교’의 교리와 체험을 ‘가사’의 문학적 양식에 담아 표현한 한국적 종교문학의 대표적 장르로서 조선 후기 종교문화적 맥락을 잘 반영했다. 종교가사는 종교성을 정형화된 형식의 음악적 운율과 결합하여 반복적 구송을 통해 교리의 전달, 의례의 수행 등과 연계함으로써 조선 후기에 대표적인 종교문학의 장르가 되었으며, 여성이나 하층민 등이 참여하고 향유하는 문화로서 종교문화의 대중화 혹은 민간화 현상을 반영하였다. 중세에서 근대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종교가사는 유교, 불교, 천주교, 동학 등 각 종교전통들이 처한 역사적 상황에 따라 상이한 문화적 실천전략에 따라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유교가사가 기존 질서의 재구성이라는 문화적 실천전략을 제시했다면, 불교가사는 가사의 의식불교화 혹은 민간불교화로 기존 질서의 약점을 보완하는 양상을 선보였으며, 천주교가사는 생경한 천주교 교리가 지닌 이질성을 보완하는 방식으로 종교가사를 활용한 반면, 동학가사는 전통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통해 상하 계급 질서의 혁신과 새로운 가치와 질서의 창출을 도모했다.
Religious Gasa is a kind of literature that combines traditional rhythm with religious dogma or religious experience. This literature reflected the situation for women and the lower class in the late Joseon period, and their recitations of religious Gasa helped to popularize religious culture by facilitating the effective transmission of religious dogma and ritual practices. Confucian, Buddhist, Donghak, and Catholic religious Gasa in the late Joseon period each promoted goals aligned with different cultural/historical eras. Confucian Gasa emphasized the reconstruction of a traditional cultural ethos, Buddhist Gasa focused on the ritualization or popularization of religious Gasa, Catholic Gasa weakened the cultural heterogeneity of Catholicism by attempting to appropriate religious Gasa, and Donghak Gasa was concerned with reforming the traditional ethos and social order.
Contains:Enthalten in: Chongkyo yŏnku
Persistent identifiers:DOI: 10.21457/kars.2018.78.2.08.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