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seon as a space for life recovery in the poetical world of Lee Sang-hwa

본고는 1920년대를 대표하는 시인 이상화의 문학 작품에 드러나는 ‘생명’에 대한 인식이 동학의 ‘후천개벽’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는 사실을 해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이상화가 시 작품에서 형상화하고 있는 "새 세계", "조선", "청량 세계" 등이 일본의 제국주의적 횡포 아래 ‘각자위심(各自爲心)’의 상태에 내몰린 식민지 조선이 ‘동귀일체(同歸一體)’의 새로운 생명의 상태로 거듭나기를 소망했던 시인의 세계관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볼 계획이다...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1. VerfasserIn: Yu, Shin-ji (VerfasserIn)
Medienart: Elektronisch Aufsatz
Sprache:Koreanisch
Verfügbarkeit prüfen: HBZ Gateway
Fernleihe:Fernleihe für die Fachinformationsdienste
Veröffentlicht: Han gog jong gyo hag hoe 2021
In: Chongkyo yŏnku
Jahr: 2021, Band: 81, Heft: 1, Seiten: 177-199
weitere Schlagwörter:B 생명
B Lee Sang-hwa
B Refreshing world
B 이상화
B 청량 세계
B 동학
B Life
B 동귀일체
B Donghak(東學, Eastern Learning)
B Hucheon Gaebyeok(後天開闢, the Later Day’s Great Opening)
B Donggwiilche(同歸一體, Returning to the oneness)
B 후천개벽
Online Zugang: Volltext (lizenzpflichtig)
Volltext (lizenzpflichtig)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본고는 1920년대를 대표하는 시인 이상화의 문학 작품에 드러나는 ‘생명’에 대한 인식이 동학의 ‘후천개벽’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는 사실을 해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이상화가 시 작품에서 형상화하고 있는 "새 세계", "조선", "청량 세계" 등이 일본의 제국주의적 횡포 아래 ‘각자위심(各自爲心)’의 상태에 내몰린 식민지 조선이 ‘동귀일체(同歸一體)’의 새로운 생명의 상태로 거듭나기를 소망했던 시인의 세계관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볼 계획이다. 아울러 자멸의 상태에 놓인 현 조선의 상태를 파훼할 해법이 조선 내부에 있다는 시인의 생명 인식이 동학의 ‘시천주(侍天主)’, 즉 ‘내재적 초월’의 깨달음에 있다는 사실도 함께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지점이 해명되었을 때 비로소 이상화의 시나 평론 전반에서 표출되는, ‘식민지 조선’을 대상으로 하는 ‘생명 회복’의 독특한 양상이 소명될 것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이와 같은 작업의 결과로 시인의 ‘생명인식’이 일본의 ‘다이쇼 생명주의’ 및 여타의 외래 사조를 근간으로 하고 있다는 것 외에 한국 고유의 사상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점을 해명함으로써 이상화 문학 해석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데 이 글의 의의가 있다.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fact that the perception of "life" revealed in the literary works of Lee Sang-hwa, a representative poet in the 1920s, is based on Donghak’s "the Later Day’s Great Opening (後天開闢)". We first look at the "new world," "Joseon," and the "Refreshing world" that Lee Sang-hwa embraces in his poetry. This is deeply related to the view of the world by the poet, who hoped for the colonial Joseon, which was driven to a state of "self-oriented greed" under Japanese imperial tyranny, to a new state of life of "Returning to the oneness." In addition, we will also look at the ultimate goal of the poet is a solution to escape from Joseon’s current state, a state of self-destruction within the Joseon Dynasty is the realization of Donghak’s "immanent transcendence." The unique aspect of the "recovery of life" for colony "Joseon," expressed in Lee Sang-hwa’s poetry and criticism as a whole, will be clarified. In addition, we will clarify that the poet’s "recognition of life" is not based on Japan’s "Taisho Lifeism" and other foreign trends, but on unique Korean thoughts.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secure the diversity of interpretation of Lee Sang-hwa’s literature.
Enthält:Enthalten in: Chongkyo yŏnku
Persistent identifiers:DOI: 10.21457/kars.2021.4.81.1.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