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 and Peace in Christianity and Islam: Focusing on their Significance of the Korean War

기독교와 이슬람에서 전쟁과 평화의 주제는 경전을 기반으로 역사의 흐름 속에 그 입장이 평화주의에서 거룩한 전쟁론, 정당한 전쟁론, 평화주의적 현실주의 등으로 변해왔다. 두 종교가 뿌리를 둔 유대교의 히브리 성경에서 선민을 보호하는 유일신에 대한 순종은 승전을 의미하고, 유일신에 대한 불순종은 패전을 의미하였다. 이러한 선민의식에 기반을 둔 ‘거룩한 전쟁’의 이론은 기독교의 경전인 신약성경에 나타난 예수의 비폭력 저항과 마지막 선지자 무함마드의 무슬림 연합을 위한 고별선언에서 평화의 메시지로 전환되었다. 이상적인 평화주의의 실천은 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Main Author: Ahn, Shin (Author)
Format: Electronic Article
Language:Korean
Check availability: HBZ Gateway
Fernleihe:Fernleihe für die Fachinformationsdienste
Published: Han gog jong gyo hag hoe 2022
In: Chongkyo yŏnku
Year: 2022, Volume: 82, Issue: 2, Pages: 33-54
Further subjects:B 이슬람
B 평화
B Korean War
B Islam
B 전쟁
B Peace
B War
B Christianity
B 한국전쟁
B 기독교
Online Access: Volltext (lizenzpflichtig)
Volltext (lizenzpflichtig)
Description
Summary:기독교와 이슬람에서 전쟁과 평화의 주제는 경전을 기반으로 역사의 흐름 속에 그 입장이 평화주의에서 거룩한 전쟁론, 정당한 전쟁론, 평화주의적 현실주의 등으로 변해왔다. 두 종교가 뿌리를 둔 유대교의 히브리 성경에서 선민을 보호하는 유일신에 대한 순종은 승전을 의미하고, 유일신에 대한 불순종은 패전을 의미하였다. 이러한 선민의식에 기반을 둔 ‘거룩한 전쟁’의 이론은 기독교의 경전인 신약성경에 나타난 예수의 비폭력 저항과 마지막 선지자 무함마드의 무슬림 연합을 위한 고별선언에서 평화의 메시지로 전환되었다. 이상적인 평화주의의 실천은 현실 속에서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기독교 세계에서는 정당한 전쟁론이 주된 선택지가 되었고, 거룩한 전쟁론과 평화 주의적 현실주의가 때로는 선택되기도 하였다. 십자군 전쟁은 성지탈환이라는 명분을 가지고 시작되었지만, 무슬림은 물론 유대인과 기독교인까지 살육하는 결과를 낳았다. 1차와 2차 세계대전에서도 기독교 문화가 지배하는 국가들 사이의 전쟁은 정당한 전쟁론의 우세를 의미한다. 한편, 이슬람에서 메카시대와 메디나시대의 계시에도 평화주의와 거룩한 전쟁론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 1950년에 발발한 한국전쟁에 참전한 기독교 세계관이 지배하는 국가와 이슬람 문화가 지배하는 국가는 정당한 전쟁론을 넘어서 거룩한 전쟁론의 차원으로까지 전쟁을 해석하였다. 특히, 튀르키예 군인들은 한국전에서의 전사를 순교로 인식하고 한국전쟁을 이슬람을 위한 성전으로까지 간주하였다. 종교적 명분으로 전쟁에 참여했지만, 그들은 전쟁고아를 돌보거나 종교시설을 복구하는 인도주의적 평화활동을 실천하였다. 21세기 우크라이나 전쟁을 목격하고 있는 한국의 종교인들은 사회적 책임을 공적 영역에서 실천하는 평화공동체로서 그 역할을 다해야 할 것이다.
In Christianity and Islam, the theme of war and peace has been based on scriptures, and in history, their positions have changed from pacifism to holy war theory, just war theory, and pacifist realism. In the Hebrew Bible of Judaism, where the two religions are rooted, obedience to monotheistic God that protects the chosen people means victory, and disobedience to the monotheism means defeat. This theory of ‘holy war’ based on the chosen people’s consciousness was converted into a message of peace from Jesus’ nonviolent resistance in the New Testaments, Christian scriptures, and the final declaration of farewell for the Muslim coalition of the Prophet Muhammad. Since the practice of ideal pacifism is virtually impossible in reality, just war has become the main option in the Christian world, and holy war theory and pacifist realism have been chosen sometimes. The Crusades began under the pretext of recapturing the holy land, but resulted in the slaughter of Jews and Christians as well as Muslims. Even in World War I and II, war among countries with Christian culture means the dominance of just war theory.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 between pacifism and holy war theory can be found in the revelations of the Meccan and Medinan periods in Islam. Christian and Islamic countries that participated in the Korean War that broke out in 1950 interpreted the war beyond the level of just war theory to that of holy war theory. In particular, the Turks recognized the death of warriors in the Korean War as martyrdom and even regarded the Korean War as a holy war for Islam. Although they participated in the war in religious cause, they practiced humanitarian peace activities, such as caring for war orphans or restoring religious facilities. While witnessing the war in Ukraine in the 21st century, Korean religions should play its role as peaceful communities that practice social responsibility in the public area.
Contains:Enthalten in: Chongkyo yŏnku
Persistent identifiers:DOI: 10.21457/kars.2022.8.82.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