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Daejonggyo’s Doctrine of Integration of the Three Religions-Buddhism, Taoism and Confucianism

대종교의 삼교회통관은 우리에게 아(我)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시각을 던져 준다. 그런데 이는 『會三經』과 『三法會通』 두 문헌만으로는 온전히 규명될 수는 없으며, 『天符經』과 『三一神誥』 등 『大倧敎經傳』 전반에 대한 이해의 맥락 가운데서, 그리고 삼일(三一)철학적 원리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해석에서 가능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대종교가 말하는 아(我)의 보다 심층적인 의미 규명과 여기에 내재한 삼원성의 존재론적 의미와 인식 지평에 관한 탐구는 앞으로 더욱 연구해야 할 과제이다. 대종교의 삼교회통관이 원리적인 근거로 제시하는 자...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Main Author: Lee, Chan-Hee (Author)
Format: Electronic Article
Language:Korean
Check availability: HBZ Gateway
Fernleihe:Fernleihe für die Fachinformationsdienste
Published: Han gog jong gyo hag hoe 2018
In: Chongkyo yŏnku
Year: 2018, Volume: 78, Issue: 1, Pages: 101-139
Further subjects:B 유불도(儒佛道)
B Taoism
B Trinity of Essences
B 삼교합일(三敎合一)
B 천지인(天地人)
B 삼재(三才)
B Earth and Human
B Buddhism
B Triple-Nature of Heaven
B 삼원(三元)
B Daejonggyo
B Integration of the Three Religions
B 대종교(大倧敎)
B Confucianism
Online Access: Volltext (lizenzpflichtig)
Volltext (lizenzpflichti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