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ddhist Influences on the Reformation of the Way of Celestial Masters by Kou Qianzhi: Focusing on Religious Sects and Precepts

본 연구는 북위폐불(北魏廢佛)의 중심인물 중 도교 측을 대표하는 구겸지(寇謙之)의 명확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구겸지는 도교 내부에서도 특히 천사도(天師道) 계통의 인물로서, 자신 이전의 천사도가 제주(祭酒, 좨주)의 세습, 오두미(五斗米)의 조세, 방중술(房中術)의 남용 등 여러 폐해로 인해 당시 유교적 세계관에 입각한 지배계층에게 위험세력으로 비춰지는 것을 경계하였다. 그러한 한편 이런 문제가 없던 불교가 도안(道安)-혜원(慧遠)에 의해 안착되면서 천사도의 대안이 되자 구겸지는 불교의 여러 요소를 도입하여 천사도를 개혁하고...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Main Author: Kim, Bogwa (Author)
Format: Electronic Article
Language:Korean
Check availability: HBZ Gateway
Fernleihe:Fernleihe für die Fachinformationsdienste
Published: Han gog jong gyo hag hoe 2023
In: Chongkyo yŏnku
Year: 2023, Volume: 83, Issue: 2, Pages: 157-189
Further subjects:B 계율
B 혜원(慧遠)
B 구겸지(寇謙之)
B 신천사도(新天師道)
B Daoan(道安)
B 도안(道安)
B 중국불교
B Huiyuan(慧遠)
B precepts
B Chinese Buddhism
B Kou Qianzhi(寇謙之)
B reformed Way of the Celestial Masters(新天師道)
Online Access: Volltext (lizenzpflichtig)
Volltext (lizenzpflichtig)
Description
Summary:본 연구는 북위폐불(北魏廢佛)의 중심인물 중 도교 측을 대표하는 구겸지(寇謙之)의 명확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구겸지는 도교 내부에서도 특히 천사도(天師道) 계통의 인물로서, 자신 이전의 천사도가 제주(祭酒, 좨주)의 세습, 오두미(五斗米)의 조세, 방중술(房中術)의 남용 등 여러 폐해로 인해 당시 유교적 세계관에 입각한 지배계층에게 위험세력으로 비춰지는 것을 경계하였다. 그러한 한편 이런 문제가 없던 불교가 도안(道安)-혜원(慧遠)에 의해 안착되면서 천사도의 대안이 되자 구겸지는 불교의 여러 요소를 도입하여 천사도를 개혁하고자 하였다. 구겸지의 천사도 개혁은 특히 불교교단과 계율의 모방을 통해 이루어졌는데, 이는 구겸지가 제시한 천사도의 새로운 교단과 계율의 내용을 남기고 있는『노군음송계경(老君音誦誡經)』을 통해 알 수 있다. 특히 중요한 것은 구겸지가 태상노군(太上老君)으로부터 이어진 이씨(李氏)라는 종교적 가계를 창출함을 통해 종래 장씨(張氏)라는 혈통에 의해 이어져오던 천사직과 제주직의 세습논리를 바꾸려 한 것인데, 이는 당시 도안 - 혜원의 불교 측이 붓다로부터의 석씨(釋氏) 가계를 창출하여 중국 특유의 혈연중시의 논리에 대응한 것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이다. 그 밖에 여러 불교의 영향이 있었지만, 구겸지의 천사도 개혁의 영향력은 그의 사후 거의 바로 일소(一掃)되었다는 점에서 한계를 보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구겸지 사후 천사도는 다시 제주의 세습이나 민간신앙에 경도된 모습을 보이게 된다. 이런 한계는 다시 도교 내부에서 평가되어야 한다. 같은 천사도의 개혁자인 육수정(陸修靜) 등의 남천사도(南天師道)나 다소 후에 등장한 전진교(全眞敎) 등도 불교교리 및 계율의 일정한 영향을 받으면서도 이를 잘 안착시키거나 교리적으로 인정 및 전승되어왔다. 이런 점에서 구겸지는 불교가 미친 도교에 대한 영향에서 그 한계를 잘 드러내는 인물이지만, 반대로 구겸지의 한계가 도교 전체의 한계로 비추어질 성격의 것은 아니다. 향후 폐불을 둘러싼 불교연구에서도 이 점을 잘 확인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clearer understanding of Kou Qianzhi’s significance during the Buddhist persecutions in Northern Wei. He was also a prominent figure in Taoism, especially in the Way of the Celestial Masters. He took precautions due to the Celestial Masters sect being viewed as a dangerous force by the ruling Confucian class at the time. The sect was criticized f or practices such as the inheritance of libation (祭酒), the annual tax of the five pecks of rice (五斗米), and the abuse of arts of the bedchamber (房中術). To address these issues and with the rise of Buddhism as an alternative to Taoism in China, influenced by figures like Daoan (道安) and Huiyuan (慧遠), Kou Qianzhi attempted to reform the Way of the Celestial Masters. Kou Qianzhi’s reforms were primarily achieved through the introduction and imitation of various elements of Buddhism, particularly in terms of sects and precepts. This is evident in the Laojun Yinsong Jiejing (老君音誦戒經, Supreme Venerable Sovereign’s Book of Commandments for Chanting), which preserves the content of the new sect and its precepts. One significant aspect of the reforms was his attempt to change the hereditary logic associated with the celestial master and libationer positions, which had traditionally been passed down through the Zhang family (張氏). Instead, he established a religious lineage called the Li family clan (李氏), tracing its inheritance from Taishang Laojun. This departure from the traditional Chinese kinship system was influenced by the Shi lineage (釋氏) of Buddhism. However, the impact of the reformation was limited after Kou Qianzhi’s death. The reformed sect seemed to revert to its previous focus on hereditary succession and folk beliefs. These limitations need to be reevaluated within the context of Chinese Taoism. Other reformation movements, such as Lu Xiujing’s Southern Way of the Celestial Masters (南天師道) and Quanzhen (全眞敎), were better established and continued to thrive while incorporating Buddhist influences. In this regard, Kou Qianzhi can be seen as a figure who reveals the limitations of integrating and influencing Buddhism and Taoism.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his limitations should not be regarded as the limitations of Taoism as a whole. Future studies on Buddhist persecutions need to acknowledge this point.
Contains:Enthalten in: Chongkyo yŏnku
Persistent identifiers:DOI: 10.21457/kars.2023.8.83.2.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