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hetoric of the Won-Buddhist "Great Master’s Discourse"

이 연구는 원불교 『대종경』을 수사학적으로 연구하여 『대종경』의 언어적 특성과 의의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사학이란 진리를 효과적으로 관철시키는 동시에 주체적으로 진리를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방법을 의미한다. 『대종경』에 나타난 수사학적 표현들은 다음의 네 가지 성격을 가진다. 첫째, 익숙한 의미로 전이된다. 둘째, 동기 유발을 유도한다. 셋째, 간절함과 염려를 전한다. 넷째, 보다 쉬운 이해로 안내한다. 이 성격들로부터 『대종경』의 수사학적 표현들의 특성을 도출할 수 있다. 먼저 인지적 측면에서는 쉽고 익숙한 의미로 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Main Author: Lee, Juyoun (Author)
Format: Electronic Article
Language:Korean
Check availability: HBZ Gateway
Fernleihe:Fernleihe für die Fachinformationsdienste
Published: Han gog jong gyo hag hoe 2019
In: Chongkyo yŏnku
Year: 2019, Volume: 79, Issue: 2, Pages: 197-228
Further subjects:B 대종경
B 소태산
B Language
B 언어
B 수사학
B Great Master’s Discourse
B Won-Buddhism
B 원불교
B Rhetoric
B READER
B 독자
Online Access: Volltext (lizenzpflichtig)
Volltext (lizenzpflichtig)
Description
Summary:이 연구는 원불교 『대종경』을 수사학적으로 연구하여 『대종경』의 언어적 특성과 의의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사학이란 진리를 효과적으로 관철시키는 동시에 주체적으로 진리를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방법을 의미한다. 『대종경』에 나타난 수사학적 표현들은 다음의 네 가지 성격을 가진다. 첫째, 익숙한 의미로 전이된다. 둘째, 동기 유발을 유도한다. 셋째, 간절함과 염려를 전한다. 넷째, 보다 쉬운 이해로 안내한다. 이 성격들로부터 『대종경』의 수사학적 표현들의 특성을 도출할 수 있다. 먼저 인지적 측면에서는 쉽고 익숙한 의미로 전이됨으로써 오히려 원초적이고 낯선 기분을 느끼게 하고, 나아가 독자로 하여금 능동적으로 의미를 구성하도록 유도한다. 이는 언어로 설명할 수 없는 현묘한 진리에 도달하기 위한 ‘교량’으로서의 역할에 해당된다. 또한 정의적 측면에서는 독자의 동기유발을 유도하고 그들의 발심과 실천에 대한 간절함과 염려를 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대종경』의 구성 방식이 독자를 중심에 두는 것은 대중 지향적 종교로서 원불교의 교법적 특징에서 기인한다. 수사학을 토대로 본 『대종경󰡕은 인류의 성불제중을 위해 언어로 나타난 대공사(大公事)이며, ‘개인’에서 ‘대중’으로의 확장이라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hetoric of the Won-Buddhist 『Great Master’s Discourse』 and deline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hetorical expressions contained therein. By doing so, the focal point of 『Great Master’s Discourse』 was explored. Rhetoric refers to the means necessary to effectively accomplish the truth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writer and at the same time allows the reader to understand the truth independently. Rhetorical expressions in the 『Great Master’s Discourse』 have the following four characteristics. First, it is transferred to a familiar sense. Second, it inspires motivation. Third, it conveys a sense of gravity and anxiety . Fourth, it allows for greater understanding. From a cognitive perspective, as the rhetorical expressions in the 『Great Master’s Discourse』 become easier to understand and more familiar, the reader can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 Thus the rhetoric serves as a ‘bridge’ that allows the reader to grasp profound truths that cannot be conveyed by words alone . Also, from an affective perspective, the rhetoric employed induces t motivation in the reader, and also conveys a sense of gravity and and concern about conversion and practice. In this way, the reader-centered nature of the 『Great Master’s Discourse』 stems from the doctrinal characteristics of Won Buddhism as a public-oriented religion. In other words, the 『Great Master’s Discourse』, based on the rhetoric employed in the text, seeks to instruct regarding the important public duties that are necessary for achieving Buddhahood and delivering all sentient beings. This can be thought of as a development from the ‘individual’ to ‘the public’.
Contains:Enthalten in: Chongkyo yŏnku
Persistent identifiers:DOI: 10.21457/kars.2019.08.79.2.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