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Review on Relationship Patterns between Modern German Society and Religion: With Focus on Buddhism and Buddhist Migrants

본 논문은 그리스도교의 땅 독일에 이주민 혹은 난민의 형태로 유입된 이(異)민족들이 그들이 가지고 온 종교와 함께 어떻게 정착·적응·동화하는지 탐색하였다. 또한, 이민족이 독일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종교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규명하였다. 특히 독일의 불교와 불교 이주민을 중심으로 ‘현대 독일 사회와 불교의 관계유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나아가 불교 생활세계가 힐링 생활세계로서 독일 사회에 어떻게 자리매김하고 있는지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이민족의 수용과 정착, 동화 문제를 독일의 사회학자 하버마스(Jürgen Haberm...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Main Author: Kim, Myong Hee (Author)
Format: Electronic Article
Language:Korean
Check availability: HBZ Gateway
Fernleihe:Fernleihe für die Fachinformationsdienste
Published: Han gog jong gyo hag hoe 2020
In: Chongkyo yŏnku
Year: 2020, Volume: 80, Issue: 1, Pages: 79-117
Further subjects:B German society
B 독일불교
B 불교 명상
B 독일 사회
B 힐링
B 체계와 생활세계
B German Buddhism
B 이주민
B Migrants
B Habermas
B Healing
B Buddhist Meditation
B 하버마스
B System and Lebenswelt
Online Access: Volltext (lizenzpflichtig)
Volltext (lizenzpflichtig)
Description
Summary:본 논문은 그리스도교의 땅 독일에 이주민 혹은 난민의 형태로 유입된 이(異)민족들이 그들이 가지고 온 종교와 함께 어떻게 정착·적응·동화하는지 탐색하였다. 또한, 이민족이 독일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종교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규명하였다. 특히 독일의 불교와 불교 이주민을 중심으로 ‘현대 독일 사회와 불교의 관계유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나아가 불교 생활세계가 힐링 생활세계로서 독일 사회에 어떻게 자리매김하고 있는지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이민족의 수용과 정착, 동화 문제를 독일의 사회학자 하버마스(Jürgen Habermas)의 의사소통행위이론에 기반한 ‘체계(System)와 생활세계(Lebenswelt)’의 사회과학적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현대 독일 사회와 불교 생활세계’를 네 단계로 살펴보았다. 첫째, 하버마스의 ‘체계와 생활세계’에 대해서 탐구하였다.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행위이론과 ‘체계와 생활세계’가 어떻게 사회와 종교의 상관성 연구의 토대가 되는지 고찰하였다. 둘째, 독일의 불교 역사를 분석, 고찰하였다. 독일의 ‘불교 생활세계’를 이해하기 위해선 독일의 불교 유입과 발전 과정, 그리고 독일불교의 특징을 아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셋째, 독일불교의 역사와 특징을 토대로 현대 독일 사회와 불교 생활세계가 어떤 유기적 관계를 갖는지 불자들의 현지 자료를 토대로 살펴보았다. 넷째, 힐링유형으로서 불교생활세계가 독일 사회에 미친 영향에 대해 탐색하였다.
This present paper explores how the foreign nationals who have come as migrants or refugees into Germany, ‘a land of Christianity,’ settle down, adjust or get assimilated with the German society in terms of their religion brought in along with them. Also the paper examines what roles religion has played for these foreign nationals in their adjustments. The focus of the paper is on German Buddhism and Buddhist migrants in Germany in the examination of relationship patterns between the modern German society and Buddhism. Furthermore the paper investigates how the Buddhist Lebenswelt settled down in the German society as a healing Lebenswelt. For this purpose the paper deals with the issue of foreign nationals’ acceptance, settlement and assimilation centering around the socioscientific concept of ‘System’ and ‘Lebenswelt’ based on the German sociologist Jürgen Habermas’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This paper looks at the ‘Modern German Society and Buddhist Lebenswelt’ in four stages: The First is an investigation of Habermas’ ‘System and Lebenswelt.’ Here the paper examines how Habermas’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and ‘System and Lebenswelt’ constitutes the foundation of the research in the correlation between society and religion. In the second, the paper analyzes and investigates German Buddhist history. To understand German ‘Buddhist Lebenswelt,’ it is important to know the process of how Buddhism arrived and evolved in Germany a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German Buddhism. In the third, backed up by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German Buddhism, the paper looks into how the modern German society and Buddhist Lebenswelt form an organic relationship based on the local data about Buddhists. In the fourth, the paper investigates effects Buddhist Lebenswelt took upon the German society as a pattern of healing.
Contains:Enthalten in: Chongkyo yŏnku
Persistent identifiers:DOI: 10.21457/kars.2020.4.80.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