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Research on the System and Method of Education in Buddhist Cultural Contents Studies

본 논의는 불교문화콘텐츠 연구의 현황과 성과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불교문화콘텐츠학 교육체계와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20년 전에 인문콘텐츠학회가 성립되면서 문화콘텐츠학의 학문적 토대가 성립되었는데, 그동안 문화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한국의 문화콘텐츠는 눈부실 만큼 성장하였다. 한류는 큰 확산을 이루었고 K-콘텐츠는 전 세계인의 사랑을 받고 있다. 바로 관련 분야의 인재의 양성은 대학의 중요한 역할이며, 그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불교문화콘텐츠 관련 석사학위는 2022년까지 32건으로 다양한 대학에서 전통...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ongkyo yŏnku
Main Author: Lee, Jaesoo (Author)
Format: Electronic Article
Language:Korean
Check availability: HBZ Gateway
Fernleihe:Fernleihe für die Fachinformationsdienste
Published: Han gog jong gyo hag hoe 2023
In: Chongkyo yŏnku
Further subjects:B 종교문화콘텐츠
B Cultural Contents
B Humanities Contents
B 디지털불교학
B Digital Buddhist Studies
B 인문콘텐츠
B Buddhist Cultural Contents Studies
B 불교문화콘텐츠
B Religious Cultural Contents
B 문화콘텐츠
B 불교문화콘텐츠학
B Buddhist Cultural Contents
Online Access: Volltext (lizenzpflichtig)
Volltext (lizenzpflichtig)
Description
Summary:본 논의는 불교문화콘텐츠 연구의 현황과 성과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불교문화콘텐츠학 교육체계와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20년 전에 인문콘텐츠학회가 성립되면서 문화콘텐츠학의 학문적 토대가 성립되었는데, 그동안 문화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한국의 문화콘텐츠는 눈부실 만큼 성장하였다. 한류는 큰 확산을 이루었고 K-콘텐츠는 전 세계인의 사랑을 받고 있다. 바로 관련 분야의 인재의 양성은 대학의 중요한 역할이며, 그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불교문화콘텐츠 관련 석사학위는 2022년까지 32건으로 다양한 대학에서 전통문화콘텐츠와 종교문화콘텐츠 영역에서 불교문화콘텐츠에 관심을 가지고 학위를 취득하였다. 박사는 총 14명이 배출되었는데, 문화콘텐츠 장르와 개발 관련 연구가 80%에 육박하였다. 이를 통해 본다면 불교문화콘텐츠학 관련 연구의 기반은 조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불교문화콘텐츠 관련 연구 논문 81편을 분석한 결과 인문학 분야의 사회문화 관련이 절반이고, 활용이 22.2%, 개발, 제작과 장르가 각각 13.6%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불교문화콘텐츠학은 토대는 부실하지만, 사회적 요구는 매우 높으므로 불교문화콘텐츠 진흥 전략과 지원책이 시급하며, 그 성과도 매우 높게 나타날 것이다. 이 글에서 불교문화콘텐츠학의 교육환경과 체계에 대해 살펴보고, 교육과 연구의 기반을 세우기 위한 대학원 과정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교육의 방법론으로 인재양성, 현장 실무 교육과 전문 자격 시스템을 및 불교문화콘텐츠 전문가 네트워킹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불교문화콘텐츠학 교육의 발전과 확산을 위해 콘텐츠 중심의 불교문화콘텐츠 생태계 조성, 불교문화콘텐츠 진흥 시스템, 불교문화 콘텐츠 아카이브 구축, 불교문화콘텐츠 크리에이터 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이 필요함을 밝혔다. 본 논의를 통해 불교문화콘텐츠의 미래를 이끌어 갈 교육체계의 활성화를 위한 노력과 협력의 길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In this paper I aim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and achievements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and the educational system and method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studies.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Association of Humanities Contents 20 years ago, the academical research foundation of cultural contents was established. In the meantime,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industry, cultural contents in Korea has grown remarkably. The Korean Wave has spread greatly, and K-content is loved by people all over the world. The cultivation of talent in related fields is an important role of the university, and efforts should be made to prepare for the future. By 2022, there were 32 master’s degrees related to Buddhist Cultural Contents, and various universities have obtained master’s degrees with interest in Buddhist Cultural Contents in the areas of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and religious cultural contents. 14 doctoral dissertations were produced, with nearly 80% of research related to cultural content genres and development. The result of analyzing 81 research papers related to Buddhist Cultural Contents, About half of them are related to society and culture in the humanities. 22.2% of theses are about the utilization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It was followed by development, production and genre at 13.6% each. Through this research, Buddhist Cultural Contents studies have a destitute foundation, but social demands are very high, so strategies and support measures for promoting Buddhist Cultural Contents are urgently needed, and the results will be very in height. Futhermore this paper examine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ystem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studies and sugguested a graduate course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education and research. Additionally, this research paper examine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ystem of Buddhist cultural content studies and proposed a graduate program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education and research. In addition, in order to develop and spread Buddhist Cultural Contents education, I revealed that it is necessary to create a content-oriented Buddhist Cultural Contents ecosystem, promote Buddhist Cultural Contents, establish Buddhist Cultural Contents archives, and establish and operate a Buddhist Cultural Contents creator network. Through this discussion, I would like to contribute to the path of efforts and cooperation to revitalize the educational system that will lead the future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Contains:Enthalten in: Chongkyo yŏnku
Persistent identifiers:DOI: 10.21457/kars.2023.4.83.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