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th Welfare and the Role of Religion: Juvenile Delinquency

본고는 사회문제로서 청소년 비행을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의 특성과 여기서 드러나는 종교의 역할과 한계를 살펴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청소년기는 부모 외 또래 친구, 학교 교사 등과도 새로운 관계를 맺게 되는 시기로, 청소년 비행은 이들과의 정상적인 애착관계의 결핍에 근거하는 것이다. 청소년복지에서 특히 종교를 주목하는 것은 청소년 비행이 바로 그 ‘애착’의 속성에 근거하는 것으로, 그 해결을 위해서는 단지 복지가 아닌 ‘종교복지’의 역할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종교기관, 종교기반 복지관과 시민단체들은 이러한 목표를 구현하는 데에 적합하거니...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Main Author: Chun, Myung-Soo (Author)
Format: Electronic Article
Language:Korean
Check availability: HBZ Gateway
Fernleihe:Fernleihe für die Fachinformationsdienste
Published: Han gog jong gyo hag hoe 2018
In: Chongkyo yŏnku
Year: 2018, Volume: 78, Issue: 3, Pages: 119-146
Further subjects:B Juvenile Delinquency
B 애착관계
B Youth Welfare
B Attachment Relationship
B 자원봉사
B Volunteer Work
B 청소년복지
B Religious Welfare
B 종교복지
B 청소년 비행
Online Access: Volltext (lizenzpflichtig)
Volltext (lizenzpflichti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