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trospection on the Status and Role of Religions in the Period of Divis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이 논문은 남북 분단 이후 북한에서의 종교 이해와 현실 및 종교의 위상을 분석하고 향후 ‘평화시대’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 종교가 할 수 있는 역할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쓴 것이다. 남북 분단 이후 1970년대까지 북한에서는 종교에 대한 사회주의적인 부정적 이해와 6.25 전쟁을 통한 극도의 반종교적 정서가 지배적이었다. 주체사상이 북한의 유일 지도 이념으로 등장한 이후 1980년대부터는 주체사상에서의 종교에 대한 제한적 긍정을 통해 부분적으로나마 종교시설을 복구하거나 재건했고, 종교단체들의 활동도 재개되었으며, 그 결과가 그...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Main Author: Ryu, Sungmin (Author)
Format: Electronic Article
Language:Korean
Check availability: HBZ Gateway
Fernleihe:Fernleihe für die Fachinformationsdienste
Published: Han gog jong gyo hag hoe 2019
In: Chongkyo yŏnku
Year: 2019, Volume: 79, Issue: 2, Pages: 9-40
Further subjects:B The reality and status of religions in North Korea
B Juche ideology
B 북한 특유의 사회주의체제 종교
B the period of division
B 북한의 종교현실과 위상
B 북한종교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B 분단시대
B 주체사상
B North Korea’s unique socialist system religion
B a new paradigm of the study of North Korea’s religions
B peace period
B 평화시대
Online Access: Volltext (lizenzpflichtig)
Volltext (lizenzpflichtig)